입력 : 2019.03.07


석유 의존 경제에 저유가 '직격탄'…국가 통제 경제로 자력 기반 붕괴
美 경제제재, 위기 부채질…곳간 비어가는데도 무상복지 지출 유지


최근 수년 사이 중남미에서는 한때 대륙을 휩쓸었던 '핑크 타이드'(Pink Tide·온건한 사회주의 성향의 좌파 물결)가 퇴조하면서 우파 국가들이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석유 매장량 세계 1위 국가로 중남미 좌파를 호령하던 베네수엘라는 '한 나라 두 대통령'이라는 초유의 사태로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정국 혼란에 휩싸였습니다.


벼랑 끝에 몰린 베네수엘라의 정치·경제·사회적 위기의 원인 진단,

베네수엘라 위기가 중남미에 미치는 영향, 중남미 우파의 약진 현황과 배경 등을 짚어봅니다.

1. 벼랑 끝에 몰린 베네수엘라의 정치·경제·사회적 위기의 원인 진단(간단히 두괄식)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이 두 번째 6년 임기를 시작한 지 13일이 지난 1월 23일.

수도 카라카스에서 열린 반정부 집회에서 연단에 오른 후안 과이도 국회의장은 자신을 과도 정부의 '임시 대통령'이라고 선언했다.
작년 5월에 치러진 대선이 야당의 유력 후보들이 가택연금이나 해외 도피 등으로 출마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불공정하고 불법적으로 치러졌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는 헌법 규정상 대통령 유고 시 국회의장이 과도 정부의 임시 대통령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선언 직후 기다렸다는 듯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베네수엘라 국민은 너무 오랫동안 불법적인 마두로 정권으로부터 고통을 겪었다. 나는 오늘 과이도를 베네수엘라의 임시 대통령으로 인정한다"고 밝혔다.

상세는 아래에


2. 베네수엘라 위기가 중남미에 미치는 영향


미국에 이어 유럽연합(EU) 주요국, 브라질과 콜롬비아 등 중남미 우파 정부 등 50여 개국이 과이도 의장을 임시 대통령으로 인정하면서 '반(反) 마두로 포위 전선'을 구축했다.

러시아와 중국을 비롯해 중남미 좌파 진영의 맥을 잇는 쿠바와 볼리비아 등이 '마두로 지키기'에 나서면서 사상 초유의 베네수엘라 '한 나라 두 대통령' 사태는 중남미를 넘어 국제사회의 좌우 대립 양상으로 번졌다.




<베네수엘라의 정치·경제·사회적 위기의 원인 진단> 상세


◇ 석유의존 경제에 저유가 '직격탄'…美 경제제재로 설상가상

"석유는 검은 금이 아니라 악마의 배설물이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창립 주역 중 한 사람인 베네수엘라인 후안 파블로 페레스 알폰소는 오래전부터 석유가 지닌 위험성을 이처럼 경고했다.

석유 수출에 따른 경제성장 혜택이 일부 정치인, 군, 기업 등 소수 기득권층에게만 집중되고 석유 수출에만 의존한 탓에 경제 다변화와 자급자족 기반을 갖추지 못하는 폐해를 경고한 것이다.

더 상세는

베네수엘라의 정치·경제·사회적 위기의 원인 진단 상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