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태그플레이션이란?

제주도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태그플레이션에 관련된 정보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경기침체)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신조어로, 정도가 심한 것을 슬럼프플레이션(slumpflation)이라고 한다.

제 2차 세계대전 전까지 불황기에는 물가가 하락하고 호황기에는 물가가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호황기에는 물론 불황기에도 물가가 계속 상승하여, 이 때문에 불황과 인플레이션이 공존하는 사태가 현실적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1969~1970년 경기후퇴가 지속되는데도 소비자물가는 상승을 계속하였다. 이 현상은 다른 주요국에서도 일어나고 있는데, 이는 직접적으로는 물가(특히 소비자물가)의 만성적 상승경향에 의한 것이다.

만 성적 물가상승은 물가안정을 경제정책의 첫째 목표로 여겼던 전전의 풍조가 후퇴하여 지금은 물가안정보다 경기안정을 우선시키게 되었다는 점, 소수의 대기업에 의하여 주요산업이 지배되고, 제품가격이 수급상태 등과는 거의 관계없이 고정되는 경향(독과점가격의 下方硬直性)이 강해졌다는 점 등과 관련이 있다. 특히 1970년대에 들어와서는 석유파동이 경기를 침체시키면서도 물가는 계속 상승하였다.

스태그플레이션의 그 밖의 주요원인으로는, 경기정체기에 군사비나 실업수당 등 주로 소비적인 재정지출이 확대되는 일, 노동조합의 압력으로 명목임금이 급상승을 계속하는 일, 기업의 관리비가 상승하여 임금상승이 가격상승에 비교적 쉽게 전가되는 일 등을 들 수가 있다.



Stagflation.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과는 또다른 개념이다.

경제불황과 동시에 물가가 오르는 현상을 이르는 말. 경제 침체 속의 인플레이션.

보통 실업률과 물가상승은 반비례관계에 있다. 한 경제단위의 생산잠재력이 정상적으로 가동할 경우 통화량 증가 -> 실업률 하강, 인플레이션 이 일반적인 프로세스이다.

그런데 여기서 총공급의 수축으로 일반적인 프로세스가 갑자기 무너지고 정 반대가 되는 경우가 있다.

그 중 한 가지는 공급 비용의 상승이다. 예컨대 석유를 수입하는 나라의 경우, 오일 쇼크 로 원유값 상승 -> 원재료 공급단가 증가 -> 생산품 가격증가 의 테크로 물가가 전체적으로 높아지고 생산비용의 증가로 생산은 감소한다. 따라서 실업률은 더 높아진다. 실제 이러한 경우는 매우 흔하며 그때마다 "정말 무서운 스태그플레이션이 찾아 왔어요!"라며 언론은 호들갑을 떨지만 일회적인 충격으로 끝나게 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다른 이유는 버블이건 무리한 총수요부양정책이건 여하한의 이유로 잠재성장률을 초과하거나 자연실업률을 하회하게하는 성장이 이루어진 다음이다. 이 경우 장기적으로 기대인플레이션이 상승하면서 총공급의 수축이 발생하는데 이때 불경기에 인플레이션이 동반하게 된다. 이것은 일회적이지 않고 상당기간 이어진다는 의미에서 진성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왜 그런지는 알수없지만 언론은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던가 중국발 원자재가격 상승과 무리하게 연계시키려 든다. 중국발 원자재가격 상승이라면 초장기적 추세다. 하루아침에 일어난 일도 아니고 그에 비례해 중국발 디플레이션 압력도 외려 공존하는 터라 그런 논리는 무리가 있다.

이처럼 두 경우를 나누어 살펴보는 것은 안정화 정책상의 대응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상으로 지금까지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본 블로그의 자료 관한 설명: 항상 이런글을 링크하고나면 나중에 다시보면 원본 혹은 사본이 없어진경우가 많아 일부는 본문까지 복사해둔다.

글이 도움이 되고, 마음에 드신다면 마구마구 공유 해주세요~

꼬리말 - 노른자집 Music Player 설명서 | 살아있는 추천 글 보기 블로그 인기글보기 | 전체글보기



+ Recent posts